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거 정책

서울시는 주거관련 삶의 질 향상을 통해, 주거안정에 기여합니다

서울형 주택바우처 (일반바우처)

저소득 서민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민간월세로 거주하는 저소득 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최소화하고,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서울형 주택 바우처(임대료 보조지원)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자 : 아래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가구
 

① 민간 월세 ‘주택’ 및 ‘고시원’ 거주 가구

 

② 임대보증금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의 소액보증금 기준 (1억6천5백만원) 이하인 가구

 

③ 소득평가액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인 가구

 

④ 재산가액이 2억원 이하인 가구

      ※ 단, 청약저축, 청약보험저축, 보험은 금융재산에서 제외하되, 일반재산에는 포함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기준 ('24.8.1. 보건복지부 고시)
지원내용
구 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이상
중위소득 60% 1,435,208원 2,359,595원 3,015,212원 3,658,664원 4,264,915원 4,838,883원
 

※ 지원제외자

 
지원내용
 

수급자가 아닌 저소득층에 월세 일부를 매월 지원

지원 금액
 
지원 금액 안내
구 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지원금액 120,000원 130,000원 140,000원 150,000원 160,000원 170,000원
 
 

신청권자

 

신청(권)자 가구의 가구원

  • 대리인 : 주민등록표상 등재되지 아니한 배우자 및 2촌 이내 직계 존·비속 (신청(권)자가 가구원의 위임 필요 – 계약자 위임 우선)
  • 관계 공무원 : 담당공무원이 신청(권)자의 동의를 얻어 직권 신청 가능
 

신청방법 및 유의사항

 

신청권자가 관련 서식을 작성, 증빙서류를 포함하여 동주민센터 담당자에게 제출

신청서식 : 차상위계층 확인서 및 발급신청서(법정 차상위, 서울형 기초보장가구 제외), 서울형 주택바우처 신청서, 개인정보 이용 미제공 사전 동의서, 임대차계약서 사본, 신청자 신분증(주민등록증, 자동차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등)

유의사항

  • 임대차계약서 사본제출 시 확정일자를 부여받은 것만 인정 (임대차계약서는 주택소유자와 지원대상 가구원 간의 계약만 인정)
  • 임대기간(계약기간)이 지났으나 변경계약서(보증금 및 임대료 증액 없음)를 작성하지 않고 거주하는 경우 묵시적 갱신 인정
  • * 단, 무보증월세주택은 확정일자 없는(집주인 확인) 계약서도 인정
  • 부양의무자와의 임대차계약은 제외
  • 주택을 임대인으로부터 재임차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
 
담당부서

주택정책과

연락처

02-2133-7992

개인정보 처리방침

서울특별시 주택정책과(이하 ‘주택정책과’)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서울주거포털’에서 처리하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