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정책
서울시는 주거관련 삶의 질 향상을 통해, 주거안정에 기여합니다
주거 정책
서울시는 주거관련 삶의 질 향상을 통해, 주거안정에 기여합니다

서울시에서 생활하는 저소득층, 저소득 청년층 및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해
중앙정부·서울시·서울주택도시공사의 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주택을 매입하여 현 생활권에서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주변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임대기간 : 최초2년
최대 계약 기간 : 2년단위로 재계약 가능(10회), 최장 20년
시중보다 훨씬 저렴한 임대료
| 주택 유형 | 전용면적 | 주거비 수준 |
|---|---|---|
| 다가구 | 24.37㎡ ~ 59.98㎡ 이하 | - 임대보증금: 25,563,000원 - 임대료: 267,000원 |
| 원룸 | 14.04㎡ ~ 46.72㎡ | - 임대보증금: 21,843,000원 - 임대료: 208,000원 |
※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클 수 있음
가구원 수에 따라서 선택
시중보다 훨씬 저렴한 임대료
일반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① 1순위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생계급여, 의료급여),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규칙에 의한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주거지원 시급가구, 가구당 월평균 소득 70% 이하 장애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저소득고령자
② 2순위 : 세대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자. 세대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인 장애인 (지적장애인ㆍ정신장애인 및 제3급 이상의 뇌병변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배우자 포함)
청년매임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본인이 무주택이며 아래의 자격을 갖춘 청년(혼인 중이 아닐것)
1. 만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인 사람 2. 대학생(입학예정자 포함) 3. 취업준비생(졸업 후 2년 이내인 사람으로서 미취업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① 1순위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생계급여, 의료급여),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규칙에 의한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차상위 계층
②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인 자.
③ 3순위 : 본인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인 자.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Ⅰ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세대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90%) 이하
① 1순위 :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만6세 이하) * 자녀는 태아를 포함한 민법상 미성년인 자녀에 한함
② 2순위 :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자녀가 없는 예비신혼부부
③ 3순위 : 유자녀 혼인가구(만 6세 이하 자녀)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Ⅱ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세대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120%)이하
① 1순위 :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만6세 이하) * 자녀는 태아를 포함한 민법상 미성년인 자녀에 한함
② 2순위 :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자녀가 없는 예비신혼부부
③ 3순위 : 유자녀 혼인가구(만 6세 이하 자녀)
청년, 신혼부부 매입임대리츠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해당 세대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120%)이하
① 1순위 : 신혼부부, 예비 신혼부부 및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② 2순위 : 청년
③ 3순위 : 제1순위와 제2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중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가구
고령자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① 1순위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생계급여, 의료급여),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규칙에 의한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주거지원 시급가구, 가구당 월평균 소득 70% 이하 장애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저소득고령자
② 2순위 : 세대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자. 세대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인 장애인 (지적장애인ㆍ정신장애인 및 제3급 이상의 뇌병변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배우자 포함)
다자녀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① 1순위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생계급여, 의료급여), 차상위 계층
② 2순위 : 제1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자
개인정보 처리방침
서울특별시 주택정책과(이하 ‘주택정책과’)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서울주거포털’에서 처리하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보유기간| 순번 | 개인정보 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보유기간 |
|---|---|---|---|---|
| 1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주거기본법」 제15조 및 시행령 제17조,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7조, 정보주체의 동의 |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접수 및 추천서 발급 | 사업 종료 시까지 |
| 2 |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주거기본법」 제15조 및 시행령 제17조,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7조, 정보주체의 동의 | 청년 임차보증금 신청접수 및 추천서 발급 | 사업 종료 시까지 |
| 3 | 청년월세지원 신청자정보 | 「주거기본법」 제15조 및 시행령 제17조,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7조, 정보주체의 동의 |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자격심사 및 지급관리 | 사업 종료 시까지 (선정자의 주민등록번호) 5년 (그 외 개인정보) |
| 4 | 노장청쉐어하우스 (한지붕세대공감 신청자정보) |
정보주체의 동의 | 한지붕세대공감 사업현황 관리 및 사업대상자 선정 통보 및 사업 실태조사(모니터링) | 어르신: 사업 종료 시까지 학생: 5년 |
| 5 | 전월세보증금 지원 온라인상담 | 정보주체의 동의 | 온라인 상담답변, 정책자료 활용 | 3년 |
| 6 | 공동주택 온라인상담 | 정보주체의 동의 | 온라인 상담답변, 정책자료 활용 | 3년 |
| 7 | 층간소음 온라인상담 | 정보주체의 동의 | 온라인 상담답변, 정책자료 활용 | 3년 |
| 8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 신청 내역 | 「주거기본법」 제15조 및 시행령 제17조,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7조, 정보주체의 동의 | 신혼부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 심사 및 지급관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개인정보| 순번 |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처리(수집·이용)하는 개인정보 항목 |
|---|---|---|
| 필수항목 | ||
| 1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전자우편), 무주택여부, 자녀수, 혼인신고일, 임대차계약서상 물건지주소, 보증금, 융자신청금액, 계약기간, 주민등록등본(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인국인등록증 또는 국내거소확인서류), 가족관계증명, 혼인관계증명서, 예식장계약서(예비신혼부부의 경우), 임대차계약서, 계약영수증 |
| 2 |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전자우편), 대출일, 대출금액,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 소득금액증명,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근로청년의 경우)재직증명서, (근로청년의경우)급여명세서 또는 갑종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근로경력 1년미만 취업준비생의 경우)부·모의 소득금액증명원 |
| 3 | 청년월세지원 신청자정보 | 신청인의 성명, 휴대폰번호, 주소, 이메일, 임대차계약서상의 부동산소재지, 보증금, 임차료 등 계약사항, 계좌정보, 가족관계증명서의 부·모의 이름, 생년월일, 임대차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 이체증 이미지 |
| 4 | 노장청쉐어하우스 (한지붕세대공감 신청자정보) |
이름, 생년월일, 집주소, 핸드폰(연락처), E-mail, 학교정보, 재학유무, 개인설문조사 |
| 5 | 전월세보증금 지원 온라인상담 | 이름, 핸드폰(연락처), E-mail, 성별, 연령, 거주지역(자치구), 상담내용, 임대차 정보(보증금, 월차임, 계약종료일, 해지통보일 등) |
| 6 | 공동주택 온라인상담 | 이름, 집주소, 핸드폰(연락처), E-mail, 성별, 연령대 |
| 7 | 층간소음 온라인상담 | 이름, 집주소, 핸드폰(연락처), E-mail, 성별, 연령대 |
| 8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 지원 내역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생년월일, 거주지주소, 휴대폰 번호, 금융거래확인서, 임차보증금반환보증서, 임차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영수증, 신청액(보증료), 보증가입일자, 임차보증금, 본인명의 통장사본(은행,계좌번호), 주민등록등본, 등기사항전부증명서 |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보유기간 및 항목은 개인정보파일의 특성에 따라 달리 규정하고 있으며, 개인정보파일별 상세한 내용은 개인정보보호 포털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종합포털(www.privacy.go.kr) > 개인서비스 > 정보주체권리행사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 > 개인정보파일목록 검색 > 기관명에 "서울특별시" 검색
| 순번 |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처리항목 (필수항목) |
수집·이용 목적 | 법적근거 | 보유기간 |
|---|---|---|---|---|---|
| 1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신청·자격요건 확인, 이자지급, 유사사업 중복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 2 |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신청·자격요건 확인, 이자지급, 유사사업 중복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 3 | 청년월세지원 신청자정보 | 주민등록번호 | 신청 자격요건 확인, 급여지급, 유사사업 중복 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선정자)사업 종료 시까지 (미선정자)5년 |
| 8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 지원 내역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신청·자격요건 확인, 이자지급, 유사사업 중복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제 3자 제공| 순번 | 개인정보 파일의 명칭 |
제공 받는자 | 제공항목 | 제공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 1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한국주택금융공사,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전자우편), 무주택여부, 자녀수, 혼인신고일, 임대차계약서상 물건지주소, 보증금, 융자신청금액, 계약기간, 추천서 발급번호, 추천서 발급일자 | 신청 자격요건 확인, 유사사업 중복 수혜방지, 추천 진위 여부 확인, 정책 통계자료 작성 및 여론조사 시행 | 사업 종료 시까지 |
| 2 |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한국주택금융공사, 국민은행, 하나은행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전자우편), 추천서 발급번호, 추천서 발급일, 근로여부 | 신청 자격요건 확인, 금리산정, 유사사업 중복 수혜 여부·추천 진위 여부 확인, 정책 통계자료 작성 및 여론조사 시행 | 사업 종료 시까지 |
| 3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 내역 | 서울시 25개 자치구(주소지 관할) 소관부서 | [신청인 및 배우자] 성명, 거주지주소, 휴대폰 번호 | 유사사업 중복수혜 방지 | 사업 종료 시까지 |
| 순번 | 개인정보 파일의 명칭 |
제공 받는자 | 제공항목 | 제공목적 | 법적근거 | 보유 및 이용기간 |
|---|---|---|---|---|---|---|
| 1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한국주택금융공사,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신청·자격요건 확인, 이자지급, 유사사업 중복 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 2 |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 정보 | 한국주택금융공사, 국민은행, 하나은행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신청·자격요건 확인, 이자지급, 유사사업 중복 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 3 | 청년월세지원 신청자정보 | 서울시 관련부서(자치행정과, 세제과, 세무과, 청년사업담당관, 아동담당관, 디지털정책관, 토지관리과) | 성명, 주민등록번호 | 사업대상자 신청·자격요건 확인, 유사사업 중복수혜 여부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정보처리목적 달성 시까지 |
| 서울시 25개 자치구 소관부서 | ||||||
| 과세물건 소재 시도, 시군구 | ||||||
| 국민건강보험공단 | ||||||
| 국토교통부(한국부동산원 포함) | ||||||
|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
||||||
| 신한은행 | 성명, 주민등록번호, 계좌정보 | 지원금 지급 | ||||
| 4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 내역 | 서울시 25개 자치구 소관부서 |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 유사사업 중복 수혜 여부, 부정수급 등 확인 | 주거기본법 제15조(주거비보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 사업 종료 시까지 |
| 대상시스템 | 개인정보파일명 | 영향평가 수행연도 |
|---|---|---|
| 서울주거포털 | 청년월세지원 신청자정보,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자정보 | 2023년 |
처리위탁| 순번 | 수탁 업체명 | 위탁업무 |
|---|---|---|
| 1 | 서울주택도시공사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상담센터 대행사무 (청년월세 지원 신청자 상담, 심사 및 지급 관련업무, 청년주거관련 교육 홍보 안내)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대행사무 (1인가구 주택관리 및 주거상향 지원사업 등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 상담 및 관련업무) |
| 2 | (주)피씨엔 | 서울주거포털 운영 및 유지보수 |
정보주체 권리의무
법정대리인
파기
안전성확보조치
자동화 수집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구분 | 부서명 | 성명 | 직급 | 연락처 |
|---|---|---|---|---|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디지털도시국 | 강옥현 | 국장 |
※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팀) 전화 : 02-2133-7812 이메일: privacy@seoul.go.kr |
|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정보보안과 | 강지원 | 주무관 | |
| 분야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주택정책과 | 사창훈 | 과장 | ※ 분야별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 임대주택과 | 김장열 | 과장 | ||
| 공동정책과 | 이정식 | 과장 | ||
| 분야별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주택정책과 |
설혜원 송지호 신지연 정희수 오만욱 |
주무관 |
전화: 02-2133-7034 전화: 02-2133-7277 전화: 02-2133-7026 전화: 02-2133-7704 전화: 02-2133-7280 |
| 임대주택과 | 황지성 | 주무관 | 전화: 02-2133-7034 | |
| 공동주택과 |
박은영 조은영 |
주무관 |
전화: 02-2133-7292 전화: 02-2133-7294 |
열람청구
권익침해 구제| 기관명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118 | privacy.kisa.or.kr |
|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1833-6972 | www.kopico.go.kr |
|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사이버수사과 | (국번없이)1301 | www.spo.go.kr |
|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 (국번없이)182 | cyberbureau.police.go.kr |
처리방침변경